2023년 계묘년을 앞두고 마음이 새롭다.
내년은 육십 간지 중 40번째 해인 '계묘'년이다.
흑을 뜻하는 '계'와 토끼를 뜻하는 '묘'가 합쳐진 말이다. 검은 토끼의 해이다.
육십 간지란, 60갑 자라고도 불리며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가 결합되어 모두 60개의 간지를 말한다.
말이 조금 어렵다. 평상시 쓰는 단어가 아니다 보니 그렇다.
천간은 육십갑자의 위 단위를 이루는 요소다.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가 있다.
지지는 육십갑자 아래 단위를 이루는 요소이다.
띠를 나타내는 12동물을 표현한 글자인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가 있다.
천간과 지지가 결합되어 갑목에서부터 계미까지의 순서대로 이루어져 잇는 60 간지는 무려 518,400가지의 경우의 수가 나온다.
이로 인해 같은 날 태어난 사람도 각기 다른 운명을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다.
이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역술을 보게 된다.
매년 연말연시가 되면 토정비결 신년운세 사주팔자 등 각종 운세 콘텐츠나 어플 들이 인기를 끈다.
주변 지인 중에서도 심도깊게 공부를 하여 어플을 들여다보이며 해석을 해주기도 한다.
하지만 천간이 뭔지, 지지가 뭔지도 모르는 상황에 듣고 있기만 하다가 조심해야 할 것 등을 기억해 놓는다.
새해가 되면 또 봐야 할 것 같다.
토끼 띠의 해를 맞이하면서 띠별 성격을 알아봤다.
알고 있다시피 매우 빠르고 날렵한 모습을 보여주는 토끼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띠 중 하나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이러한 토끼띠들은 대체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을까?
친근하고 영리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 토끼처럼 띠의 의미도 그러하다.
온순한 성격도 있다. 감수성은 풍부하고 주의 깊고 눈치가 빠르다. 이상주의자이기도 하다.
토끼띠와 좋은 띠로는 마찬가지로 온순한 양띠와 돼지띠가 있다.
토끼띠의 상극으로는 닭띠가 있다. 닭띠는 논리적이고 객관적이라 이상주의자인 토끼띠와 상극일 수 있다.
말띠와도 맞지 않다. 당연히 맹수인 호랑이띠와도 상극이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x 다자녀 할인 요금으로 저렴하게 이용하기 (0) | 2022.12.13 |
---|---|
2023년부터 6월부터 만 나이 사용 (0) | 2022.12.09 |
센스 있는 건배사 어떤 게 있을까? (0) | 2022.11.18 |
초간단 감자 삶기, 감자의 효능 (0) | 2022.11.15 |
오래 먹을 수 있는 귤 보관법 (0) | 2022.11.14 |